음력 7월 7일은 칠석으로 견우와 직녀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날입니다. 간단한 상식으로 식사나 잡담의 소재로 좋은 내용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견우와 직녀
옛날에 견우와 직녀가 있었습니다. 직녀는 옥황상제의 딸로 옷감을 짜는 배틀질을 아주 잘했습니다. 어느 날 직녀는 피리를 불고 있는 견우를 보고 첫눈에 반했다고 합니다. 그날 이후로 직녀는 나날이 수척해졌고, 그 이유를 알게 된 옥황상제는 견우와 직녀를 혼인시켰습니다. 하지만 견우와 직녀는 혼인 후 자신들의 일을 하지 않고 놀러만 다녔습니다.
2. 오작교
화가난 옥황상제는 견우는 은하수의 동쪽으로, 직녀는 서쪽으로 귀양을 보냈습니다. 시간이 지나 마음이 누그러진 옥황상제는 일 년에 한 번 칠석에만 두 사람이 만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 하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은하수가 가로 놓여 있어 서로를 애타는 마음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을 안타깝게 여긴 까마귀와 까치가 자신들의 몸을 이어 다리를 놓았는데 그 다리 이름이 오작교입니다.
3. 칠석 우
선조들은 칠석 즈음에 비가 오는 것은 견우와 직녀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4. 세거 우
칠석 전날 내리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타고 갈 수레를 씻는 물이 비가 되어 내리는 것이라고 불렀습니다.
5. 쇄루우
칠석 다음날 새벽에 비가 오면 헤어지는 슬픔 때문에 흘리는 눈물이라 생각했습니다.
6. 이런 설화가 생겨난 이유
한여름철 밤하늘을 보면 여름의 대삼각형이라고 부르는 유난히 반짝이는 별 세 개를 볼 수 있습니다. 그중 북쪽에 있는 별이 직녀성, 남쪽에 있는 독수리자리의 가장 밝은 별이 견우성입니다. 음력 7월 7일이 되면 실제로 견우성이 북쪽으로 이동해 직녀성과 만나는 것처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