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농사

구기자

by 핀크스 2022. 7. 31.
반응형

1. 일반 특성

o 식물명 : 구기자

o 학명:Lycium chinense Mill.

o 이용 부위 : 생약재, 음료, 차 / 구기 엽은 차, 나물, 약용


구기자는 명안초자청정자), 부위별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로 분류한다. 등으로 불리는데, 이용 )
피로 해소, 시력보호, 혈액순환 촉진,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으로 인해 예로부터 귀중한 약초로 사랑을 받아왔다.
진시황제가 불로장생 약을 찾아 세계 각지로 신하들을 보냈는데 그때의 궁중 비법으로 되어 있는 불로장수의 처방에는 오로 환 동환(五老還童丸), 칠보 미발단(七寶美髮丹), 연령 고본 환( 등의 3가지가 있丸) 었다. 이 3가지 처방에는 공통으로 구기자를 이용하고 있어 진시황제의 불로초가 구기자라는 이야기도 있다.

2. 구기자의 이용 부위별 효능

ㅇ 구기자 : 간기능 보호, 혈액순환 촉진, 지질대사 개선, 시력보호, 세포성 면역 증가, 피로 해소 등

ㅇ 구기엽 : 혈관계 질환 치료, 항산화 등

ㅇ 지골피 : 해열, 저혈당 치료, 혈압강화, 항산화 등

3. 재배환경

 o 기상 :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좋다. 전국 재배가 가능하나 열매 생산은 중남부 지방이 유리하다.
ㅇ 토양 : 비옥도 중 정도인 사양토 내지 식양토, 배수가 양호한 곳이 좋다.
ㅇ 경영과 재배상의 문제점
- 병해충 발생에 의한 품질 및 수량 감소
- 재배 시 많은 노동력 필요
- 가격변동이 심함
- 유통질서 미확립
- 수요량이 파악되지 않아 생산량 조절 곤란
- 신품종 육성 보급 미흡

4. 품종별 특징

ㅇ 명안

- 중만생, 다수성
- 병해충 : 탄저병(강), 혹응애(강), 흰 가루병(약)

- 자가 불화 합성으로 필히 수분수 혼식 재배
- 적기수확 및 병해충은 예방 위주 방제

ㅇ 불로

- 조생종, 다분 지성, 대과 다수성
- 병해충 : 탄저병(중), 혹 응애(약), 흰 가루병(약)
- 자가 불화 합성으로 필히 수분수 혼식 재배
- 적기수확 및 병해충은 예방 위주 방제
ㅇ 청대
- 중만생종, 대과 다수성
- 병해충 : 탄저병(중), 혹응애(강), 흰 가루병(약)
- 자가 불화 합성으로 필히 수분수 혼식 재배
- 적기수확 및 병해충은 예방 위주 방제
ㅇ 장명
- 중생종, 대과 다수성
- 병해충 : 탄저병(중), 혹응애(강), 흰 가루병(약)
- 자가 불화 합성으로 필히 수분수 혼식 재배
- 적기수확 및 병해충은 예방 위주 방제

ㅇ 청운
- 중생종, 대과 다수성
- 병해충 : 탄저병(중), 혹응애(강), 흰 가루병(약)
- 자가 불화 합성으로 필히 수분수 혼식 재배
- 적기수확 및 병해충 예방 위주 방제

5. 재배방법

ㅇ 번식방법 및 정식

- 번식방법: 삽목, 휘묻이, 분주, 종자 등이 있으나 삽목 좋음
- 시기 : 3월 중순~하순
- 재식거리 : 120 × 40cm
- 심는 방법 : 비닐 멀칭 한 후 삽수를 45° 각도로 비스듬히 식재, 땅 위 2~3cm 올라오도록 식재
ㅇ 수분수 혼식
현황 및 문제점 : 구기자는 일반적으로 자가 불화 합성이 있으므로 동일 품종 재배 시 수정이 불량하여 수량이 저하되므로 적정 수분 수 혼식으로 결실률 향상 필요
불로는 청양 재래, 청대는 명안과 혼식하며 장명은 청운과 혼식 재배한다.

ㅇ 시비법
- 유기질비료 : 4,000kg/10a
- 3요소:N-P-K=40-30-30kg/10a
ㅇ 솎기, 적심 및 유인
-솎기 : 한 주당 4~5본
- 적심 : 순이 25~30cm 시 5~10cm 적심, 3회 실시
- 유인 : 1차 적심 후 5m 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끈으로 유인
ㅇ 비가림 재배
- 방제 노력 및 비용절감, 기상재해 회피
- 고품질 저 농약 안전 생산으로 소비자 신뢰
ㆍ 수량 증수 및 안전 생산으로 소득 증대
ㅇ 수목형 재배
- 병해 발생이 적다.
- 개화기가 빠르고 수량성이 증대된다.

6. 병해충

ㅇ 탄저병

- 병징과 발생 상태 : 7월 중순~9월 하순 강우 및 고온다습한 경우

심하며 열매나 열매꼭지에 발병한다.
- 방제법 : 전염원은 소각하고 배수 및 통풍을 철저하게 하며 프로피 수화제, 홀펫 수화제, 디치 수화제, 만코지 수화제, 타로닐 수화제 등을 사용 기준에 준하여 살포한다.

ㅇ 총채벌레
- 피해 및 발생 형태 : 꽃, 어린잎 및 열매를 가해하며 하절기 고온 건조할 경우 발생이 심하다. 꽃노랑 총재 벌레의 피해가 심하다.
- 방제법 : 정기적인 예찰을 실시하며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 이미다 클로프 리드 수화제, 스피노사드 과립 수화제, 칼탑 · 부 프로페진 수화제, 클로르 훼나피르유제 등을 사용 기준에 준하여 살포한다.

ㅇ 파밤나방
- 피해 및 발생 형태 : 연간 4~5회 발생하며 애벌레는 황록~흑갈색이며 나방은 황갈색이다.
- 방제법 : 갓 깨어난 애벌레를 집중 방제하며 비펜스린 그로 포수 화제, 에토 펜 프록스 유제, 클로르 훼나 피르·비펜스린 수화제 등을 사용 기준에 준하여 살포한다.

7. 수확 및 품질관리

o 수확시기

- 구기자 적기수확과 직전) : 선홍색, 탄력 있는 육질
- 수확 당일 건조 : 양분 손실 없음, 색깔 선홍색
- 수확 후 세척 및 선별 : 오염물질 제거, 품질 향상 등
열풍건조 : 1단계 55℃ 1시간, 2단계 50℃ 35~40시간 통풍구 조절은 1단계는 완전개방, 2단계는 1/3 개방

※ 출처/참고문헌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구기자 지자체 농업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