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해배상, 형사고소

척추체 5년 한시장해 기준 상실수익액 계산법(교통사고시 손해배상)

by 핀크스 2025. 2. 27.
반응형

한시장해(부분 영구장해)의 경우, 5년 동안 상실된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피해자의 노동력 상실률과 연간 소득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계산이 이루어집니다.


1. 상실수익액 계산 공식

📌 상실수익액 = 월평균소득 × 노동력 상실률 × 적용 기간(5년) × 호프만계수

✔ 월평균 소득 – 피해자가 사고 전 벌던 월평균 소득 ✔ 노동력 상실률 – 장해 정도에 따라 법원 또는 보험 기준 적용 ✔ 적용 기간 – 5년(한시장해 인정 기간) ✔ 호프만계수 –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를 반영하는 할인율 적용 수치

 

 

2. 예제 계산 (월소득 200만 원, 노동력 상실률 23%)

월 소득: 200만 원 × 23%(장해율) × 53.4545(호프만 계수 5년) = 2,458만 원

📢 결과적으로 한시장해 5년 기준 상실수익액은 약 2,458원이 됩니다.


 

3. 한시장해 보상금 산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장해진단서 및 감정평가서 – 공식적인 장해 판정이 필요함 ✔ 개인의 연소득 자료 제출 – 세무 신고된 소득 또는 평균 임금 적용 가능 ✔ 법원 및 보험사 기준 차이 확인 – 적용 방식에 따라 보상액 차이 발생 가능, 보험사는 라이프니츠계수, 법원은 호프만 계수 적용함.  ✔자동차 사고시 피해자의 과실율에 따라 차감요소로 적용함.

이 계산법을 활용하여 한시장해 5년 기준 합리적인 보상금 산정을 진행하세요!

#한시장해 #상실수익액 #보상금계산 #노동력상실 #보험청구 #손해배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