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돈되는정보/생활정보116 국군의 날 유래 10월 1일은 국군의 날입니다. 우리나라 군대 (육해·공군)의 창설을 기념하고 국군의 위용과 발전을 알리기 위한 기념일입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한창이던 당시, 낙동강까지 밀려났던 우리 국군은 간신히 다시 38선을 돌파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전쟁에서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날의 의의를 기리기 위해 38선을 돌파한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1. 국군창설 및 병역 의무 우리나라 국군은 1948년 8월 15일에 정부가 수립되면서 정식으로 조직되었습니다. 1953년 분단 이후로 북한의 재도발을 막고 국민의 안전과 나라를 지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조직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국군은 본인의 지원에 의한 '모병제'였으나 한국 전쟁이 일어난 바로 다음 해인 1951년.. 2022. 7. 13. 세계의 군인 모집 방법 우리나라는 병역의 의무가 있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는 군인을 어떻게 모집할까요? 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1. 병역의 의무 우리나라처럼 병역의 의무를 지닌 징병제 국가는 전 세계에 60개국 정도입니다. 러시아, 이스라엘, 태국, 싱가포르 이집트, 오스트리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가. 이스라엘 이스라엘에는 '차할'이라고 하는 군대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남녀 모두 군대에 가야 하는데요 18세 이상이 되면 남성은 3년, 여성은 2년간 복무합니다. 여성들도 징집하기 때문에 징집률만 보면 세계 1위라고 합니다. 나. 태국 태국에서는 매년 필요한 병사 수를 정하고 만 21세 이상의 남성을대상으로 지원자를 받습니다. 예상 정원을 채우지 못할 시에는 징집 대상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제비뽑기를 하여 입영 .. 2022. 7. 13.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 음력 7월 7일은 칠석으로 견우와 직녀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날입니다. 간단한 상식으로 식사나 잡담의 소재로 좋은 내용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견우와 직녀 옛날에 견우와 직녀가 있었습니다. 직녀는 옥황상제의 딸로 옷감을 짜는 배틀질을 아주 잘했습니다. 어느 날 직녀는 피리를 불고 있는 견우를 보고 첫눈에 반했다고 합니다. 그날 이후로 직녀는 나날이 수척해졌고, 그 이유를 알게 된 옥황상제는 견우와 직녀를 혼인시켰습니다. 하지만 견우와 직녀는 혼인 후 자신들의 일을 하지 않고 놀러만 다녔습니다. 2. 오작교 화가난 옥황상제는 견우는 은하수의 동쪽으로, 직녀는 서쪽으로 귀양을 보냈습니다. 시간이 지나 마음이 누그러진 옥황상제는 일 년에 한 번 칠석에만 두 사람이 만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 2022. 7. 12. 목공작업시 꼭 필요한 보호장비 취미생활 중에 보호 장비 없이 목공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것은 상당히 위험한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공 작업에 필요한 보호 장비와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귀마개 인간의 청력은 한 번 잃으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목공기계는 대부분 날카로운 음역대에서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귀마개를 착용해야 한다. 귀마개를 착용하는 이유는 청력을 보호하기 위한 것뿐만은 아니다. 시끄러운 기계음은 사람에게 공포감 주는데 이때 몸이 위축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보안경 작업을 하다 보면 사방으로 톱밥이 튄다. 그러다가 톱밥이 눈에 들어가면 각막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보다 더 시급한 문제는 눈에 톱밥이 들어가는 순간 시야가 가려진다는 것이다. 기계가 돌아가는 작업 중에.. 2022. 7. 10. 요리를 편하게 하는 주방 환경 요리를 해본 적 없는 사람이라면 요리를 한다는 것 자체가 버겁게 느껴지기 쉽습니다. 제 경험상 요리하는 환경을 최대한 편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더군요. 자잘하게 느껴지는 불편함을 하나씩 없애가면서 요리 환경을 쾌적하게 바꿔나가 봅시다. 자잘한 변화들이 모여 요리가 좀 더 쉽고 즐거운 행위가 될 수 있게 도와주고 밥을 지어먹을 의욕을 북돋아줄 겁니다. 다음은 유용한 요령들입니다. 양념들을 손 닿기 쉬운 선반에 모아두고 종류별로 구분해서 보관한다. 자주 쓰는 양념들은 손잡이가 달린 정리함에 넣어두고 통째로 꺼내 쓰면 편하다. 뒤집개나 조리 주걱 같은 조리 도구들을 손 닿기 쉬운 곳에 둔다. 싱크대 안을 잘 정리해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도구를 꺼내는 일이 번거롭지 않게 한다. 싱크대 정리대 등을 이용하.. 2022. 7. 10. 칵테일의 역사 칵테일은 어떻게 생겨나서 널리 퍼지게 되었을까요? 오늘 포스팅은 칵테일이 발전해온 역사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칵테일의 시초 시초는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와인에 물을, 고대 이집트에서는 맥주에 꿀을 넣어 마셨다고 합니다. 만약에 이것을 칵테일에 포함시킨다면 칵테일은 술과 함께 탄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세기 후반에 제빙기가 개발된 뒤로 콜드 드링크가 탄생했습니다. 1920년에 미국에 금주법이 실시되자 미국 바텐더들이 유럽으로 많이 이주했고, 이로써 칵테일은 세계로 퍼졌습니다. 칵테일의 유래 칵테일은 '수탉의 꼬리'라는 뜻인데, 유래에 대한 설이 여러 가지입니다. 1 도구의 이름 설 칵테일을 섞을 때 쓰는 막대가수탉 꼬리와 비슷했기 때문에'수탉의 꼬리(tail of cock)'라는.. 2022. 7. 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0 다음